대부분의 DBMS는 메모리 영역을 3가지로 분류를 한다.
DB2 입장에서는 인스턴스 영역, 데이터베이스 영역, Application 영역 식으로 표현할 수 있겠지만, 다른 DBMS인 경우는 다르게 표현될 것이다.
DBM CFG 및 DB CFG의 메모리 설정 값은 총 값(인스턴스 메모리가 DB 공유메모리를 포함함)을 의미하지만, 모니터링을 통한 각 값은 분리되어 확인이 된다.
V8.x 에서는 db2mtrk를 통하여 확인을 할 수 있었지만, V9.x 부터는 뷰(snapdbm_memory_pool 등)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인스턴스 사용 메모리 크기
명령어 db2 “db2mtrk -i –v” 결과 Tracking Memory on: 2011/12/26 at 15:35:25 Memory for instance Other Memory is of size 30212096 bytes 명령어 db2 +p –tv << EOF select pool_id, sum(pool_cur_size) instance_mem_tsize 결과 POOL_ID INSTANCE_MEM_TSIZE |
데이터베이스 메모리 크기
명령어 db2 “db2mtrk -d –v” 결과 Memory for database: SAMPLE Backup/Restore/Util Heap is of size 65536 bytes 명령어 db2 +p –tv << EOF select substr(db_name,1,8) dbname, |
Application & Private 사용 메모리 크기
명령어 db2 “db2mtrk –a –p –v” 결과 Application Memory for database: SAMPLE Applications Shared Heap is of size 524288 bytes Memory for application 13 Application Heap is of size 65536 bytes Memory for application 12 …………… Memory for agent 33 Other Memory is of size 196608 bytes Memory for agent 32 Other Memory is of size 196608 bytes 명령어 db2 +p –tv << EOF select substr(db_name,1,8) dbname, pool_id, sum(pool_cur_size) app_mem_tsize |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 DB2 설정정보 백업방법과 그 활용 (0) | 2012.01.09 |
---|---|
[SQL] 집계함수 listagg() (0) | 2012.01.05 |
[관리] 데이터베이스 크기 확인 (0) | 2011.12.26 |
[SQL] Recursive 처리 (재귀 SQL) (0) | 2011.12.19 |
[관리] 백업, 복구 히스토리, 아카이브 로그 자동 관리 (0) | 2011.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