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2 구축 작업을 하면, 동시접속자수를 고려하여 maxuproc(AIX) 등의 OS 레벨의 변수 값을 검토하게 된다.

DB2 인스턴스 레벨에서는 MAX_COORDAGENTS 변수의 값으로 조정을 하게 되는데, 현재는 기본 값이 Automatic 이기 때문에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런데 pureScale 환경에서는 동시접속 관련하여 고려해야 될 변수가 있다.

클라이언트 친화성(Client Affinity) 방식 및 자동 워크로드 밸런싱(WLB) 방식 중 어느 방식이 pureScale 이중화 구성에 권장되는지는 알 수 없지만 WLB 방식인 경우 dsdriver 설정 파일에 maxTransports 값을 고려해야 된다.

 

V10.1 FixPack 0 (GA) 버전에서는 기본 값이 80 이였고, FixPack 1에서는 기본 값이 1000으로 변경되었다.

 

만일 설정 값 보다 접속 수가 초과하는 경우 –4210 에러 메시지(SQLSTATE=57033)를 Application에서 받게 되고, 진단로그(db2diag.log)에는 접속이 강제로 끊어지는 메시지(Detected client termination, ZRC=0x00000036=54)가 기록된다.

 

현재로서는 어느 정도 설정하고 쓰는지 알 수 없으나, maxTransports 변수 값은 WAS 및 업무 담당자와 협의를 통해서 설정되어져야 하겠다.

 

진단로그 오류메시지

2013-03-20-17.53.00.994278+540 I79184627A574        LEVEL: Error
PID     : 12190138             TID : 51181          PROC : db2sysc 1
FUNCTION: DB2 UDB, common communication, sqlcctcptest, probe:11
MESSAGE : Detected client termination
DATA #1 : Hexdump, 2 bytes
0x070000035ABEE222 : 0036 


2013-03-20-17.56.04.862158+540 I79264650A547        LEVEL: Error
PID     : 40108300             TID : 51479          PROC : db2sysc 0
FUNCTION: DB2 UDB, base sys utilities, sqeAgent::AgentBreathingPoint, probe:10
CALLED  : DB2 UDB, common communication, sqlcctest
RETCODE : ZRC=0x00000036=54

 

참고 문서

1. IBM APAR ( http://www-01.ibm.com/support/docview.wss?uid=swg1IC80398)

IC80398: INTERMITTENT -4210 ERRORS FOR TRANSPORT TIMEOUT WHEN MAXTRANSPORTS EXCEEDS MAX CONCURRENT APPLICATION CONNECTIONS.

 

2. IBM DeveloperWorks (AIX 기반 DB2 튜닝 사항)

  http://www.ibm.com/developerworks/aix/library/au-DB2AIXPERF.html 

 

3. 정보센터 참고 문서

http://pic.dhe.ibm.com/infocenter/db2luw/v10r1/index.jsp?topic=%2Fcom.ibm.db2.luw.apdv.cli.doc%2Fdoc%2Fc0056065.html&resultof%3D%2522%256d%2561%2578%2554%2572%2561%256e%2573%2570%256f%2572%2574%2573%2522%2520%2522%256d%2561%2578%2574%2572%2561%256e%2573%2570%256f%2572%2574%2573%2522%2520

 

http://pic.dhe.ibm.com/infocenter/db2luw/v10r1/index.jsp?topic=%2Fcom.ibm.db2.luw.wn.doc%2Fdoc%2Fi0060385.html&lang%3Dko

가끔씩이기는 하지만 파트너 사 아니면 DBA 분들로부터 위 2가지 관련한 문의를 받는다.

이미 V9.1 Viper는 2012년 4월 말 End Of Service가 되었고, 내년 V9.5 Viper2가 EOS된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버전은 V9.7 코브라라고 할 수 있고, V10.1(갈릴레오)이 최신버전이라 할 수 있겠다.

금년 여름 V10.5 케플러가 출시된다는 소식이 있으니 IBM에서 고속 성장을 하고 있는 제품이라 할 수 있겠다.

 

1. 라이센스 파일 및 Activation Code

일반적으로 DB2 Edition 유형은 WSE, ESE, AESE 정도가 일반적인데, IBM Tech Note를 보면 많은 License가 존재한다.

DB2 라이센스는 시리얼 키 값이 아닌 Activation.zip 압축 파일에 lic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존재한다.

Value Package에 가입(년 200만원 정도)되어 있으면 activation.zip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

 

V9.7 Edition에 따른 Activation Code는 다음 문서를 참고하면 되겠다.

Value Package에서 원하는 license파일을 코드 값으로 쉽게 검색하고자 할 때 유용할 것 같다.

http://www-01.ibm.com/support/docview.wss?uid=swg21445568

 

V10.1 Edition Activation code는 다음과 같다.

http://www-01.ibm.com/support/docview.wss?uid=swg21594835

 

위에 기술된 라이센스 파일은 V9.7 정보센터에 기술되어 있다.

http://pic.dhe.ibm.com/infocenter/db2luw/v9r7/index.jsp?topic=%2Fcom.ibm.db2.luw.qb.server.doc%2Fdoc%2Fr0006748.html

 

라이센스 파일이 어떤 제품, 어떤 기능에 대한 것인지 위 문서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업무에서는 db2 edition 별 라이센스 파일 (WSE, ESE) 정도만 사용이 되는 편이다. 이외의 라이센스 파일은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다.

 

2. 제품 서비스 종료일

제품이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Major 버전 당 수명이 평균 5년 정도쯤 되는 것 같다.

다른 DBMS와 수명기간을 비교하기는 힘들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좀 짧다는 느낌을 갖는다. (IT시장의 변화 속도를 감안해 본다면 짧은 수명이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을 것 같기도 하다.)

 

IBM FixPack 사이트에서는 V8까지 download 지원을 하고 있지만, 현재 V9.1까지 서비스가 종료된 상태다.

버전 별 EOS 일자는 아래 문서를 참고하면 되겠다.

http://www-01.ibm.com/support/docview.wss?uid=swg21168270

Red Hat Enterprise Linux 및 Cent OS에서 DB2를 설치를 하려고 db2prereqcheck 를 실행하면 libstdc++.so.5 와 /lib/libpam.so 가 없다고 메시지를 준다. 특히 64bit 운영체제에서 설치하는 경우 32bit rpm을 요구를 한다.

 

만일 해당 운영체제에 64bit 라이브러리가 설치되어져 있는 경우 32bit 라이브러리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1. libstdc++ 라이브러리

 

#> rpm -qa | grep libstdc   (설치된 library 확인)

libstdc++-4.4.7-3.el6.x86_64
compat-libstdc++-296-2.96-144.el6.i686
compat-libstdc++-33-3.2.3-69.el6.x86_64

 

#> yum install libstdc++-4.4.7-3.el6*i686  (32bit rpm 설치)

 

 

2. libpam 라이브러리

 

#> rpm -qa | grep pam

pam-1.1.1-13.el6.x86_64
pam_krb5-2.3.11-9.el6.x86_64
fprintd-pam-0.1-20.git04fd09cfa.el6.x86_64
pam_passwdqc-1.0.5-6.el6.x86_64
gnome-keyring-pam-2.28.2-8.el6_3.x86_64

 

#> yum install pam-1.1.1-13*i68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