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2 V9.5 (Viper II) 부터 root 이외 계정으로 설치가 가능해졌다.
특정 고객사 설치 작업 시, root가 필요한 사유를 작성해야 되는 경우가 있었으니, non root 설치 방식 지원은 업무 진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비루트 설치의 제약사항은 DB2 설치 시 인스턴스 구성이 된다는 점이다. (1 엔진에 1 인스턴스 구성만 가능)
어떤 의미에서는 엔진과 인스턴스가 붙어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설치 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1. root로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소유자
# root 설치 인스턴스 $> db2_ps UID CMD
# non root 설치 (인스턴스명: test) UID CMD |
2. fence (루틴 소유자)
인스턴스 계정과 fence 계정을 동일하게 하는 것은 개발환경에서만 권장하고, 운영시스템에서는 권장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non-root 설치의 경우는 fence 계정과 인스턴스 계정이 동일해지는 점을 유의하고, 비루트 설치 시의 차이점을 고객에게 인지시켜야겠다.
# root 설치 $ db2pd -fmp FMP: # non root 설치 (인스턴스명: test) $ db2pd -fmp FMP: |
3. fixpack 적용 시의 downtime
비루트 방식의 설치는 엔진과 인스턴스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root 설치 방식의 fixpack 작업과는 조금 달라질 수 있다.
개인적으로 fixpack을 적용하는 경우 사용 중인 엔진과 별도의 경로에 설치 후, 인스턴스를 update 해야 할 때만 운영중인 인스턴스를 중단한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fixpack은 비루트 방식에서는 불가능하다. (db2stop 후 fixpack 설치 작업 진행 함)
4. 기타
root 설치의 경우 사용자 자원 제약(ulimit) 값을 설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루트 설치의 경우 ulimit 값을 설정해야 한다.
DB2계정 hard data unlimited |
이외 OS기반 DB2 사용자 인증처리를 하도록 root 권한으로 설정작업이 필요하다.
#> cp ~/sqllib/cfg/db2rfe.cfg.sample db2rfe.cfg INSTANCENAME=test
#> ~/sqllib/instance/db2rfe -f db2rfe.cfg DBI1213I Root feature HA has been enabled successfully. DBI1213I Root feature OS_AUTHENTICATION has been enabled successfully. |
테스트해 본 바, SVCENAME, SVCEPORT 설정은 되지 않았다.
응답파일을 통한 비루트 설치 시, 인스턴스 DBM CFG의 SVCENAME 값은 포트번호로 설정이 되었다.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치] 리눅스 환경에서 고려해야 될 parameter (0) | 2013.07.22 |
---|---|
[관리] row migration 과 row chain (0) | 2013.06.26 |
[관리] 테이블 상태 확인(SQL0668N) (0) | 2013.05.28 |
[설치] Activation Code 및 버전 EOS (0) | 2013.04.26 |
[설치] CentOS 6 64bit에서 DB2 V10.1 설치를 위한 Library 설정 (0) | 2013.04.26 |